2025년 5월부터 펫보험이 개정된다는 소식에 아직 보험을 미처 들지 못한 많은 보호자들이 펫보험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어떤 보험이 좋은지 무엇이 우리 아이에게 좋은지 알아보려 하니 생소한 보험 용어들 기본적인 용어들을 이해 하시고
꼼꼼하게 비교하며 우리 아이에게 알맞는 보험 가입 하시길 바랍니다.
1.보장(보장 항목) 은 보험이 책임지고 대신 내주는 항목들입니다. 쉽게 말하면 "어디까지 병원비를 도와주는지의 범위예요."
어떤 건 보장되고, 어떤 건 안 될 수도 있어서 꼼꼼히 확인해야 해요.
2. 보장 한도 는보험사가 1년에 혹은 한 번에 최고로 보장해주는 금액입니다.
예를 들어, 1년에 최대 100만 원까지 보장해준다고 하면, 병원비가 그 이상이어도 100만 원까지만 나오는 거예요.
3. 자기부담금 은 병원비 중에서 내가 직접 내야 하는 돈입니다.
"병원비를 다 보험이 대신 내주는 건 아니고, 일부는 내가 내야 해요."
예를 들어, 치료비가 10만 원 나왔고 자기부담금이 30%라면, 내가 3만 원 내고 보험이 7만 원을 내주는 식이에요.
4. 면책 기간 은 보험 가입하고 나서 바로 보장이 시작되지 않는 기간입니다.
가입했다고 바로 보험이 도와주는 건 아니고, 잠깐 기다려야 하며 보통 30일 정도는 지나야 본격적으로 보장이 시작돼요.
그 전에는 병원비를 내도 보험에서 보장해주지 않습니다.
5.특약 은 기본 보장 외에 추가로 넣을 수 있는 선택 옵션입니다.
"기본 보험 말고, '이것도 보장받고 싶어요!'라고 추가하는 부분이에요."
예를 들어, 슬개골 탈구나 피부질환처럼 자주 발생하는 질병을 보장받고 싶다면 특약으로 넣을 수 있어요.
단, 보험료가 조금 더 올라갈 수 있어요.
6. 갱신은 보험기간이 끝나면 다시 계약을 연장하는 것.
3년에서 5년 주기 갱신이 이었던 보험이 최근 1년 갱신으로 개정 될 전망 입니다.
이때 보험료가 올라갈 수도 있고, 보장 내용이 달라질 수도 있어서 확인이 필요해요.
7.가입제한 / 인수제한 은 나이, 품종, 기존 병력 등으로 보험에 가입이 어려운 경우를 말해요.
쉽게말해 "이미 아프거나, 나이가 많으면 가입이 거절될 수도 있어요."
예를 들어, 만 8세 이상인 반려견은 일부 보험에서 가입이 불가능할 수도 있어요.
연령이 높을수록 보험료는 올라가니 조금 이라도 어릴때 보험을 가입하는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보험은 마치 "예비 병원비 통장" 같은 것 입니다.
지금은 괜찮아도, 나중에 갑자기 큰 병원비가 생기면 큰 도움이 됩니다.
위 용어들만 알고 있어도 펫보험 상담 받을 때 훨씬 쉽게 이해할 수 있으니 참고 하시어 가입 하시길 바랍니다.
'보호자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반려견 등록 자진신고 기간 운영: 과태료 없이 등록할 수 있는 기회! (3) | 2025.05.14 |
---|---|
반려견 슬개골에 좋은 매트 종류 및 장단점 비교 (22) | 2025.05.05 |
반려동물 패션과 윤리: 강아지 옷, 정말 괜찮을까요? (1) | 2025.04.23 |
봄철 일교차 속 반려견 면역력, 음식으로 지킬 수 있을까? (0) | 2025.04.15 |
동물 보호, 어떻게 시작하면 될까?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한 실천 가이드 (1) | 2025.04.13 |
[2025 펫보험 개정 정리]평생 보장 사라지고, 매년 다시 가입? 보호자가 꼭 알아야 할 변화 (0) | 2025.04.13 |